바로가기 서비스
국립공원 내 분포하는 자원의 목록과 분포현황을 파악하는 조사로서 자연공원법 제36조 시행령 제27조 제1항에 의거 공원별로 5년마다 실시하고 있습니다. [법령 전문바로가기]
다만, 자연자원조사는 법령개정 전 기준으로 2018년까지 10년 주기로 실시하고, 2019년 이후 5년마다 실시할 예정입니다.
구분 | 분류 | 조사분야 | |
---|---|---|---|
자연자원 (23개) |
육상생태계 (13개) | 식물분야(3개) | 식물상, 식생, 담수조류 |
동물분야(8개) | 포유류, 조류, 양서류, 파충류, 담수어류, 곤충류,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, 진정거미류 |
||
미세균류군(1개) | 고등균류 | ||
비생물분야(1개) | 지형․지질 | ||
해양생태계 (10개) | 식물분야(3개) | 식물플랑크톤, 해조류, 해초류 | |
동물분야(5개) | 동물플랑크톤, 환형동물, 연체동물, 절지동물, 해양어류 | ||
비생물분야(2개) | 해양수질, 해양퇴적물 |
||
자료분석 (1개) |
공통(1개) | - | GIS/통계분석 |
제 2기 (2000~2009) | |
---|---|
연도 | 대상공원 |
2000년 | 설악산,북한산 |
2001년 | 한라산 |
2002년 | 속리산,지리산 |
2003년 | 계룡산,덕유산 |
2004년 | 내장산,오대산 |
2005년 | 한려해상,태안해안 |
2006년 | 치악산,월악산 |
2007년 | 가야산,소백산 |
2008년 | 주왕산,다도해해상 |
2009년 | 월출산,변산반도 |
제 3기 (2010~2018) | |
---|---|
연도 | 대상공원 |
2010년 | 설악산,북한산 |
2011년 | 속리산,지리산 |
2012년 | 계룡산,덕유산 |
2013년 | 내장산, 오대산, 무등산 |
2014년 | 한려해상, 태안해안 |
2015년 | 치악산, 월악산 |
2016년 | 가야산, 소백산 |
2017년 | 경주, 주왕산, 다도해, 태백산(신규) |
2018년 | 다도해, 변산반도, 월출산 |
공원자원의 대표성을 나타내는 지역을 선정해서 계절별 표준화된 방법으로 자연적 혹은 인위적 요인에 의한 자연생태계의 변화상을 지속적으로 측정·평가하는 것입니다.
모니터링 분야연도별 | 대상공원 |
---|---|
2002년 | 3개 공원 (지리산, 설악산, 북한산) |
2003년 | 4개 공원 (3개 공원+속리산) |
2004년 | 6개 공원 (4개 공원+계룡산, 덕유산) |
2005년 | 8개 공원 (6개 공원+내장산, 오대산) |
2006년 | 10개 공원(8개 공원+한려해상, 태안해안) |
2007년 | 12개 공원 (10개 공원+치악산, 월악산) |
2008년 | 14개 공원(12개 공원+가야산, 소백산) |
2009년 | 16개 공원 (14개 공원+주왕산, 경주) |
2010년 | 17개 공원(14개공원+다도해해상, 월출산, 변산반도) ※ 자연자원조사 공원(설악산, 북한산) 제외 |
2011년 | 17개 공원 ※ 자연자원조사 공원(지리산, 속리산) 제외 |
2012년 | 17개 공원 ※ 자연자원조사 공원(계룡산, 덕유산) 제외 |
2013년 | 17개 공원 ※ 자연자원조사 공원(내장산, 오대산, 무등산) 제외 |
2014년 | 18개 공원(무등산 포함) ※ 자연자원조사 공원(한려해상, 태안해안) 제외 |
2015년 | 20개 공원(무등산 포함) |
2016년 | 20개 공원(무등산 포함) |
2017년 | 20개 공원(무등산 포함) |
2018년 | 20개 공원(무등산 포함) |